성화를 위한 결혼

노년성화를 위한 결혼

얼마전 한국을 다녀오며 결혼적령기 청년들의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있고 또한 결혼하지 않는 추세에 대해 부모들은 물론 사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것을 느꼈습니다.

결혼을 앞둔 분들은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해서 행복하게 사는 것! 아름다운 일이겠지만 결혼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별로 들지 않습니다.” 또는 “결혼은 꼭 해야 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라고 묻곤 합니다. 사실 부모님이나 주변 분들의 결혼 생활이 그렇게 본받고 싶은 경우가 아닐 때, 이러한 의문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결혼에 대해 생각하게 되면 실제 여러 가지로 부담스럽고 신경 쓰이는 부분도 많을 것입니다. 과연 결혼은 꼭 해야 하는 것일까요?

 

“결혼은 여성의 허영과 자기 중심주의를 마취 없이 뽑아 내는 수술이다.”라고 Helen Rowland은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단지 여성 뿐이겠습니까? 남성에게도 자기 중심성을 벗어나 성숙함으로 이끌어 그리스도의 형상을 닮게 할 수 있는 하나님의 계획입니다. 그래서 행복을 찾기 위해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거룩함에 동참하기 위해 결혼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전통적으로 결혼이나 부부 관계는 신학적, 영적으로 중요한 단위가 아니었습니다. 글이나 가르침에서 나오는 영성은 기본적으로 독신자나 수도사의 것이었습니다. 교황 시리시우스(Siricius, A.D. 384-398)는 결혼하지 않은 성직자나 결혼한 성직자 모두에게 성적 관계를 금지하면서 독신생활을 성직자의 필수요건으로 만들어버렸습니다. 하지만 먼 훗날 종교개혁올 주도한 마틴 루터(Martin Luther)가 캐더린(Katherine)과 결혼하면서 그러한 전통에 도전장올 냈습니다. 로랜드 바인튼(Roland Bainton)은 감동적인 루터 전기를 마무리하면서 가정과 종교개혁 사이의 관계를 조금 더 비중 있게 다루었습니다. “루터의 영향력은 추종자들의 가정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종교개혁이 사실상 가장 깊숙이 영향을 끼친 유일한 삶의 터전은 바로 가정이었다. 경제는 자본주의로, 정치는 전제주의로 변했지만 가정은 루터가 그의 가정에서 이루어 놓은 사랑과 믿음 안에서의 생활양식을 따랐던 것이다” 그때부터 마틴과 캐서린은 연합의 본보기를 통해 성경적 신앙이 가정안에서 만들어질 때 가장 풍요로울 수 있다는 사실을 교회와 세계 만방에 알린 셈입니다.

결혼을 통해 누군가와 가까워지는 것은 세상에서 가장 큰 도전일지 모르겠습니다. 거의 하루 24시간을 감시(?) 속에 있으니 ‘휴식’도 없을 것입니다. 배우자가 그렇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그렇게 느끼는 것입니다. 비디오를 빌릴 때도… 식욕, 탐욕, 열망등의 세속적인 모습을  배우자의 눈앞에 드러내게 됩니다. 그러기에 두려움을 감수하는 커다란 용기가 필요합니다. “결혼은 타락이 가장 잘 노출되며 우리의 존엄이 가장 훌륭하게 지탱되는 장소입니다. 그래서 결혼을 통한 인내라는 영적 훈련을 하게 됩니다. 훌륭한 결혼은 거져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노력해야 합니다. 이기심을 못박아야 합니다. 싸워야 하고 고백해야 하며 용서해야 합니다. 자신의 약점을 배우자에게 노출시키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며 그럼으로써 배우자도 내게 그 약점을 노출 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결혼과 가정 생활을 통해 우리 자신의 취약한 부분들을 용납 받고 회복되며 보다 온전한 인격으로 성숙해 가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결혼 생활은 참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그에 따른 보상이 있어서 마침내 아름다움과 신뢰와 상호협력의 관계가 만들어지는 성화의 현장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결혼을 통해 자신의 필요를 채우고 감정적인 만족이나 낭만을 느끼는 데서 결혼의 주된 이유를 찾을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것에 의미를 두어야 할 것입니다.

Be the first to comment